현재 3차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진행중이다.
무려 한달간 진행한다고하고 수많은 유저가 참여했다고하니 사실상 마지막 베타 테스트인듯.
지금 플레이 경험으로 향후 정식 오픈때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를 써보겠다.
1. 우선 직업은 농사꾼으로 하자.
스킬중 초반을 기준으로 가장 올리기 어려운것은 농사이다.
농사에 쓰이는 진흙을 얻기 쉽지않을 뿐더러 맵에 있는 농산물(양파 등)은 높은 스킬 렙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농사이외에 다른 스킬들은 흔히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농사 스킬을 우선 10렙으로 시작하는게 좋다.
* 참고로 가장 쉽게 올라가는 스킬
1순위 - 채집, 건설, 생존
2순위 - 무기제작, 도축
3순위 - 근접전, 요리
4순위 - 옷제작, 방어, 궁술, 농사
1순위 스킬은 케릭터 레벨이 쫓아가지 못할 정도로 빠르게 올라간다.
2순위는 케릭터 레벨과 비슷하거나 똑같다.
3순위 케릭터 레벨보다 좀 부족하다.
4순위 신경써서 해야 올라간다. 거의 항상 케릭터 레벨보다 적은듯.
2. 되도록 크레이터 주변과 항구 가까이에 주거지를 건설하자.
크레이터 주변은 특정 자원으로 넘치고 항구에 가까워야 다른 섬으로 이동이 원활하다.
3. 주거지 필수 조건
주변에 물가와 나무, 동물이 근처에 있을 것.
초반에는 물가 근처에 있는 재료인 끈은 자주 사용된다. 물고기도 있으면 더더욱 좋다.
나무는 정~말 많이 사용된다. 필수이다.
동물은 뼈, 가죽같은 재료 뿐만 아니라 근접전, 궁술, 방어 스킬을 올리기위해서 필요하다.
4. 레벨 10이 되면 다른 섬으로 가서 재료를 얻도록 하자.
케릭터 레벨보다 높은 섬으로가면 피로도가 더 빨리 쌓이긴하나 더 빠른 레벨과 더 좋은 장비를 얻기위해서는 얼른 다른 섬으로 가도록하자.
2016년 12월 9일 금요일
2016년 10월 22일 토요일
문명6 - 신난이도 초반 팁 (갱신중)
본인 문명 게임 스타일은 맵은 대륙, 크기는 초대형, 기술은 마라톤으로 한다.
1. 유레카를 이용하여 사회 제도표를 단축시키자.
우선 사회 제도표에 있는 외국 무역을 살펴보자.
'그 아래에 상승 : 두 번째 대륙을 발견하십시오.'라는 설명이 나오는데
말 그대로 두 번째 대륙을 발견하면 유레카 시스템에 의해 위의 스샷처럼 50%이 진행된다.
본인은 중국이라 60%를 얻었다.
그럼 얻는 방법은 무엇을까?
위의 스샷처럼 렌즈 - 대륙으로 보면 저렇게 색깔이 다르게 대륙이 달라진다.
저 타일을 정찰하게되면 바로 저 '외국 무역'의 유레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초반 정찰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향후 빠른 정부를 선택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정찰을 꼼꼼히 하자.(정부를 선택할수 있는 정치 철학의 유레카 조건은 도시 국가 3곳과 만나기)
또한 참고로 말하자면 대륙이 달라지면 사치자원의 종류도 달라진다.
요약 정리
a. 처음에는 주변 정찰 필수.
b. 정찰하여 다른 대륙 및 도시국가를 발견하여 유레카를 '발동'시킴.
c. 특히나 도시국가 3개 발견 및 자연 경관, 타 문명과 대륙 발견은 필수이다.
2. 사치 자원은 초반에만 거래하자.
이게 무슨 이야기냐.
문명 5와는 다르게 사치자원의 중요도가 더 높아졌다.
예를 들어 사치자원 비단 2개를 가지고 있다.
도시가 4개 이하이다. 그럼 타 문명과 거래해서 돈을 벌면된다.
그런데 5개 이상이 되어버리면 왠만하면 거래하지말자.
같은 종류의 사치자원이라도 개당 도시에 공급되는 수가 4개로 제한되어 있으니까말이다.
그래서 도시 숫자가 늘어나면 사치자원 공급에 신경을 써야한다.
3. 인공지능의 도시 선점 조건은 당연히 수도와 가까우면서도 사치자원을 첫번째로 친다.
사치자원이 많아야 인구수가 늘어난다.
2번에서도 설명했지만 사치자원 개당 도시 공급 수가 정해져있으므로 사치자원은 많으면 많을수록 무조건 좋다.
그래서 나 역시 도시 거점은 왠만하면 사치자원이 있는 곳부터 선점하자.
4. 초반은 무조건 공격, 공격, 공격이 답이다.
1. 유레카를 이용하여 사회 제도표를 단축시키자.
우선 사회 제도표에 있는 외국 무역을 살펴보자.
'그 아래에 상승 : 두 번째 대륙을 발견하십시오.'라는 설명이 나오는데
말 그대로 두 번째 대륙을 발견하면 유레카 시스템에 의해 위의 스샷처럼 50%이 진행된다.
본인은 중국이라 60%를 얻었다.
그럼 얻는 방법은 무엇을까?
위의 스샷처럼 렌즈 - 대륙으로 보면 저렇게 색깔이 다르게 대륙이 달라진다.
저 타일을 정찰하게되면 바로 저 '외국 무역'의 유레카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초반 정찰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향후 빠른 정부를 선택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정찰을 꼼꼼히 하자.(정부를 선택할수 있는 정치 철학의 유레카 조건은 도시 국가 3곳과 만나기)
또한 참고로 말하자면 대륙이 달라지면 사치자원의 종류도 달라진다.
요약 정리
a. 처음에는 주변 정찰 필수.
b. 정찰하여 다른 대륙 및 도시국가를 발견하여 유레카를 '발동'시킴.
c. 특히나 도시국가 3개 발견 및 자연 경관, 타 문명과 대륙 발견은 필수이다.
2. 사치 자원은 초반에만 거래하자.
이게 무슨 이야기냐.
문명 5와는 다르게 사치자원의 중요도가 더 높아졌다.
예를 들어 사치자원 비단 2개를 가지고 있다.
도시가 4개 이하이다. 그럼 타 문명과 거래해서 돈을 벌면된다.
그런데 5개 이상이 되어버리면 왠만하면 거래하지말자.
같은 종류의 사치자원이라도 개당 도시에 공급되는 수가 4개로 제한되어 있으니까말이다.
그래서 도시 숫자가 늘어나면 사치자원 공급에 신경을 써야한다.
3. 인공지능의 도시 선점 조건은 당연히 수도와 가까우면서도 사치자원을 첫번째로 친다.
사치자원이 많아야 인구수가 늘어난다.
2번에서도 설명했지만 사치자원 개당 도시 공급 수가 정해져있으므로 사치자원은 많으면 많을수록 무조건 좋다.
그래서 나 역시 도시 거점은 왠만하면 사치자원이 있는 곳부터 선점하자.
4. 초반은 무조건 공격, 공격, 공격이 답이다.
2016년 7월 13일 수요일
피드 구독하기:
글 (Atom)